Power BI DAX – IF 함수로 조건부 계산하기

# How to data modeling in Power BI
이번 글에서는 엑셀 데이터를 활용해 Power BI에서 스타 스키마 모델링을 만드는 방법을 정리해보려 해요. 아래 예시는 제가 실제로 분석을 위해 만든 테이블로 이해하기 쉽게 작성했습니다.
우선 엑셀에서 기본 데이터 세트를 만들었어요. 총 4개의 시트로 구성했습니다.
Fact_Sales : 주문일자, 주문번호, 고객번호, 제품, 카테고리, 가격, 수량, 지불수단, 지역
Dim_Product : 제품명, 카테고리
Dim_Payment : 지불수단, 지불수단 코드
두 테이블 모두에 존재하는 열이어야 함
일반적으로:
사실 테이블: 여러 개의 중복 값
차원 테이블: 고유한 값(Primary Key)
예시 (하단 참조)
FactSales[Product]
↔ DimProduct[Product]
FactSales[Payment]
↔ DimPayment[code]
모델 탭으로 가서 각 테이블 간 관계를 드래그로 연결했어요.
연결하면, 관계확인을 위한 창이 뜹니다.
방향설정, 일대일, 일대 다 등 설정하는 것이지요.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중앙에 사실 테이블(FactSales
),
그 주변에 차원 테이블이 위치한 별 모양 구조가 완성됩니다.
이제, 각 테이블의 고유한 키값으로 데이터 모델링이 되었습니다.
위 예시는 아주 단순한 테이블로 보여드렸지만, 분석이 복잡해 질수록 모델링 관계도 다양해 집니다. 데이터 모델링이 되어야 DAX 수식을 이용해 쉽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것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