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BI DAX – IF 함수로 조건부 계산하기

# What's the DAX in Power BI
특정 조건에 맞는 합계를 구하거나, 월별로 누적 값을 계산하거나,
그럴 때 꼭 필요한 게 바로 DAX입니다!
오늘은 Power BI에서 자주 쓰이는 DAX의 기본 개념과 사용법을
예제와 함께 천천히 알아보겠습니다.
DAX는 Data Analysis Expressions의 약자로,
Power BI, Excel Power Pivot, SSAS 등에서 사용하는 수식 언어입니다.
엑셀의 함수와 유사하지만,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계산된 열, 측정값(Measure) 등을 만들 수 있어요.
= 함수명(컬럼 또는 테이블, 조건 등)
예를 들어 매출 합계를 구하려면?
Total Amount = SUM(Sales[Amount])
Sales 테이블의 "Amount" 컬럼을 합산 한 값이에요.
이건 "측정값(Measure)"으로 만들어서 시각화에 사용할 수 있죠.
Power BI에서 f_sales 테이블을 불러옵니다.
총 수량을 측정값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필드 창 →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새 측정값 선택 후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만들어진 Total Sales를 테이블 위에 드래그하면 전체 합계가 보여집니다.
예를 들어, Product가 Shirts인 매출만 따로 보고 싶다면 Calculate 함수를 사용해야 해요.
QTY_Shirts =CALCULATE(SUM(f_sales[QTY]), Sales[Product] = "Shirts" )
이렇게 하면 조건에 맞는 합계만 뽑아낼 수 있습니다.
함수 | 설명 |
---|---|
SUM() | 숫자 합계 |
AVERAGE() | 평균 |
COUNT() | 개수 |
CALCULATE() | 조건에 따라 값 계산 |
IF() | 조건문 (엑셀과 유사) |
RELATED() | 관계된 테이블에서 값 가져오기 |
DAX는 처음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하나씩 써보면서 익숙해지면
Power BI에서 더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DAX를 사용해서 측정값을 사용해야 시각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엑셀과 동일하게 다양한 함수가 있으니 앞으로 하나씩 살펴볼게요!